더니1 [어미] 1 과거의 사태나 행동에 뒤이어 일어난 상황을 이어 주는 연결 어미. 주로 앞 절의 내용이 뒤 절의 원인이 된다.2 지금의 사실이 과거의 경험으로 알았던 사실과 다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3 과거 어떤 사실에 대하여 그와 관련된 또 다른 사실이 있음을 뜻하는 연결 어미.
더니3 [어미]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주로 혼잣말에 쓰여, 과거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일을 회상하여 나타내는 종결 어미. 현재에 그와 대조되는 어떤 상황이 있음을 암시한다. 더니2 [어미]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바로 붙어) (구어체로) 해라할 자리에 쓰여, 과거에 경험하여 새로이 알게 된 사실에 대해 묻는 종결 어미. 예스러운 느낌을 준다.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1 과거의 사태나 행동에 뒤이어 일어난 상황을 이어 주는 연결 어미. 주로 앞 절의 내용이 뒤 절의 원인이 된다. 오랜만에 운동을 했더니 온몸이 쑤신다.형에게 대들더니 얻어맞고 마는구나.날씨가 무덥더니 비가 온다.2 지금의 사실이 과거의 경험으로 알았던 사실과 다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어제는 기운이 없더니 오늘은 기운이 넘치는구나.전에는 며칠 밤을 새워도 괜찮더니 요즘은 그렇지 못하다.3 과거 어떤 사실에 대하여 그와 관련된 또 다른 사실이 있음을 뜻하는 연결 어미. 전에 거짓말을 하더니 이젠 도둑질까지 하는구나.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바로 붙어) (구어체로) 해라할 자리에 쓰여, 과거에 경험하여 새로이 알게 된 사실에 대해 묻는 종결 어미. 예스러운 느낌을 준다. 그 일이 참말이더니?어머님께서는 진지는 잘 잡수시더니?